본문 바로가기
정보

동양 철학같은 중국 철학에 대해

by py평범한사람 2023. 4. 25.
반응형

1.2 철학
hello 오늘도 돌아온 이상하게 해석하는 평범한 사람이지 않고 이상한 사람인가 하는 사람에 철학 시간 시작합니다.
오늘 배울 철학은 두근두근 동양 철학사이다.


이른바 "동양"의 철학적 전통이 어떤 역사를 거쳐왔는지를 기술하는 항목 특히 인도와 한자 문화권을 중심으로 한 철학적 전통을 중심으로 다룬다.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논의에서 나타나듯 이른바 "동양"이라는 이름으로 다른 지적 전통들이 도매금으로 묶일 수 있는지에 대한 갑론을박이 있다.
특히 이슬람 철학이나 페르시아 문화권의 철학적 전통이 소위 "서양 철학사"에 자리매김하는 점을 고려하거나, 아니면 아프리카나 아메리카 원주민, 오세아니아 문화권의 지적 전통까지 고려하게 되면 문제는 더더욱 복잡하게 된다.
이렇게 동양 철학을 딱 여기서 저기까지 범위를 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글에서 나오는 동양 철학에 범위는 참고만 하길 바란다.
다시 말해  아래에 서술된 분류는 어디까지나 편의상 이루어진 것일 뿐 이를 근거로 동양 철학의 범위를 규정해서는 안 된다.

동양 철학:
1. 동아시아 철학의 역사
1.1. 중국 철학 1.2. 불교 철학 1.3. 한국 철학
1.4. 일본 철학
2. 인도 철학의 역사
2.1. 브라흐마나 & 슈라마나 2.2. 힌두교

중국 철학에 대해 살펴보면 중국은 서주(주(周)나라가 견융의 침입을 받아 수도를 낙읍으로 천도하기 이전까지의 주나라이다.)
가 지배력을 잃고 나서부터 중국에는 윤리·도덕이라고는 1%도 볼 수 없는 막장 세상이 되었는데 이러한 세상에서 이러한 막장에서 벗어나기 위해 한 집단이 나오는데 이 집단의 이름은 제자백가이다. 제자백가의 목적은 단 하나 중국을 윤리·도덕이 없는 혼돈을 멈추고 질서를 바로잡는 것이다. 이러하듯이 중국의 철학은 시작부터 그리스의 철학에 시작인 "왜"라는 질문보다는 "어떻게 해야 혼돈을 멈추고 질서를 잡을까?" 라는 현실적인 문제로부터 시작한 철학이다. 그리고 혼돈을 끝내기 위해 부국강병, 강력한 법, 백성에 대한 복지 체제 등 온갖 대안 들이 나오게 된다.
하지만 제자백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했다.
공자를 중심으로 한 유가는 인과 덕에 의한 통치를, 노자를 비롯한 도가는 도가에 이치인 자연의 법칙을 따르는 통치를, 법가에서는 법에 따른 통치를 주장했다. 또한 장자, 묵자, 양주 등 이 전란의 시대에 대한 해결책으로 아예 통치 개념과 국가 체제 자체를 부정하는, 현대의 반전 평화주의나 아나키즘에 가까운 주장을 한다. 당시 유가 및 법가 사상과 격렬한(지금으로 보면 키보드 배틀)비판과 논쟁했다고 한다. 여기서 유교와 도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일단 유교 윤리에 핵심은 수양을 통한 도덕적 인격 완성(누구나 지속해 수양하면 도덕적으로 완성된 군자나 성인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과 도덕적  이상 사회의 실현이다.
유교의 대표 사상가로는 공자와 맹자가 있다.
공자는 인을 중요하게 보았다. 
인이란? 타고난 내면적 도덕성
인을 실천하려면 효도하고 충서를 하면 된다.
충서:속임 없이 정성을 다하고, 남의 마음을 헤아려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은 아무에게도 시키지 않은 것

또 다른 유교의 대표사상가인 맹자가 있다.
맹자는 누구나 지심이라는 선한 마음이 누구에게나 주어져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선한 마음을 바탕으로 수련한다면 누구나 도덕적으로 완성된 인간이 될 수가 있다고 보았다.

도가 윤리의 핵심은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것이다.
도가 윤리의 특징: 도는 천지 만물을 낳은 근본
도가의 대표 사상가로는 노자와 장자가 있다.
노자는 사회 혼란의 원인을 인간의 그릇된 인식과 가치관, 인위적인 규범과 제도에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노자는 무위자연,상선약수등의 주장을 했다.
또 다른 도가의 윤리의 대표사상가인 장자는 평등적 세계관을 강조하였다. 평등적 세계관 이란?
평등적 세계관:세상 만물은 평등한 가치가 있다고 보는 세계관이다.

마지막으로 보너스 느낌으로 불교에 대해 알아보자.
불교 윤리의 핵심으로는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에,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다.
불교의 대표 사상가로는 석가모니가 있다.
불교는 연기적 세계관이 있는데 연기적 세계관은 모든 존재와 현상은 무수한 원인과 결합으로 생겨나는 것 다시 말해 인연이 없으면 결과가 없다.
라는 것이다. 불교의 수행 방법은 팔정도와 삼학이 있다. 팔정도: 고귀한 여덟 가지의 길 
고귀한 여덟 가지의 길로는 올바른 견해, 올바른 생각, 올바른 말, 올바른 생활, 올바른 노력, 올바른 인식, 올바른 정신이다. 
중국 철학에 대해 계속해서 말하자면 법가식 통치로 질서가 잡혀 강성해진 진나라가 통일 왕조를 세우면서 법가가 대세를 타다가 진시황과 이사의 냉혹한 법가식 통치는 백성들의 마음을 얻지 못해 진 왕조와 함께 단명했다. 이후 한나라가 건국 후 도가적 무위 통치를 시행하였다. 파지만 결국 유학이 질서를 확립했고 제자백가에서도 유학이 압도적 우위를 점하게 된다. 당나라 시기에서도 유학은 그 위치가 굳건했으나 국제 교류가 활발해져 불교가 들어와 새로운 철학계의 경쟁자로 떠오른다. 거기다가 당나라 멸망하면서 다시 중국에 혼돈의 시기가 오자 유학에 위기가 오나 싶었지만 송 시기에 다시 유학이 떠오르면서 부활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거의 동양 철학이 아닌 중국 철학에 대해 알아본 것 같지만 일단 큰 틀은 동양 철학에서 설명했다고 생각하자. 오늘도 여기까지 읽어준 당신에게 감사하고 또 다른 게시글에서 만나보면 감사하겠다.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수도 인구 감소  (0) 2023.04.26
미국 펜타닐  (0) 2023.04.25
일본 여성 낙태약 허용  (0) 2023.04.25
고립·은둔 청년 지원  (0) 2023.04.25
어렵고 읽기도 힘든 철학  (0) 2023.04.25

댓글